철원-740

위스타트 철원마을 정춘근

 

“선생님, 자유주제는 안 되나요?”

이런 이야기는 글쓰기 시간에 아이들이 자주 하는 소리이다. 보통 수업 시간에는 나름대로 정한 주제를 설명하고 원고지에 쓰도록 한다. 그렇게 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좋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원고지를 3장정도 쓰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것을 설명하면 어렵지 않게 적응할 것이라는 배려이기도 하다.

또 다른 이유는 학생들이 글을 잘 못 쓸 것이라는 착각과 강사인 내 생각에 너희들이 따라야 한다는 주입식 교육을 답습한 결과였다. 그런 생각으로 나름대로 정리를 하고 설명을 해도 꼭 ‘자유주제’를 고집하는 아이들이 있다. 그럴 때마다 다른 학생들과 형평성을 들어서 내가 선정한 주제를 강제로 쓰게 하던 고집을 부렸다.

그렇게 강압적인(?) 수업을 고집하던 내 생각이 바뀌는 사건이 있었다. 초등학교 2학년 정도 된 아이가 어느 날 자유주제를 쓰겠다고 고집을 부렸다. 평소에도 원고지 2장 정도의 글을 쓰는 것을 버거워하던 아이였기 때문에 어깃장을 놓는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래서 절대 안 된다는 내 주장과 아이의 고집이 각을 세우고 실랑이를 벌였다. 그 아이는 50분 수업 시간 중 30분을 원고지를 바라보면서 한 글자도 쓰지 않고 울 것 같은 표정으로 내 눈치를 보고 있었다. 다른 학생들은 거의 다 작성을 하고 틀린 부분을 고쳐주는 첨삭지도를 하는 시간에도 버티고 있는 아이를 보면서 할 수 없이 알아서 쓰라고 퉁명스럽게 이야기를 했다. 여기에다가 네가 선택한 주제니까 원고지 3장을 다 채우라는 엄포를 놓았다.

내 허락이 떨어지는 순간 아이는 원고지에 고개를 숙이고 무언가를 열심히 써내려갔다. 평소의 실력을 아는 탓에 큰 기대도 하지 않고 다른 아이들 원고를 점검하고 있었는데 15분도 안 되어서 다 썼다고 척 내미는 것이었다. 그 짧은 시간에 다 채우지 못했을 것이라는 짐작으로 원고지를 보는 순간 3장을 다 채우고 아래 빈 공간 까지 글을 써 놓은 것이 아닌가! 순간 아이가 쓴 제목을 봤는데 <친구야 미안해>였다. 친구와 약속을 안 지켰던 사연을 줄줄이 써놓은 것이었다. 물론 글씨 받침이 틀리고 띄어쓰기에 문제가 있었지만 아이의 진심이 담겨있었다. 아이는 그것이 간절히 쓰고 싶었던 것이었다. 너무 기특해서 머리를 한번 쓰다듬어 주면서 칭찬을 했다. 그리고 그 원고지를 곱게 접어서 친구에게 전해주라고는 부탁을 했다. 어깨를 으쓱거리며 나가는 작은 아이 뒷모습을 보면서 내 교육 방식이 틀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수업 시간의 주인공은 강사가 아니라 우리 아이들이다. 특히 글쓰기의 경우에는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쓰지 않으면 애초 교육이 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글짓기 시간에 자신의 생각을 담아서 쓴 글이 최고라고 강조를 하면서 정작 나는 내 관점에서 수업을 했던 것이 오류였다. 좋은 글은 모든 사물을 어린이 순수한 시각에서 눈높이를 같이 해야 한다는 기본을 망각한 내 자신이 부끄럽기까지 했다.

다시 생각해 보면 우리들이 지금의 초등학생일 때는 한글을 못 뗀 친구들이 많았고 영어는 구경도 못하고 자랐다. 이에 비해 지금 초등학생들은 끔찍할 정도로 많이 배워야 하는 것을 잘 해내고 있다. 또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은 지식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큰 세상을 꿈꾸는 상상력도 풍부하다. 다만 어른들의 관점에 아이들을 맞춰서 교육 시키는 것은 아닌지 반성하게 된다.

더욱 우려가 되는 것은 오르지 공부에만 집착해 아이들이 갖고 태어난 재능을 계발할 기회조차 없다는 것은 가혹한 일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런 고민을 반영해서 글쓰기 첨삭지도 시간에는 아이들이 쓴 글의 장점을 찾아서 칭찬을 많이 하려고 한다. 시집 5권을 내서 어줍지 않게 시인이 된 내가 칭찬을 하면 부모님에게 자랑거리가 생겼다고 좋아 한다. 그리고 다음 시간에는 더 잘 쓰기 위해서 노력하는 모습은 교육 현장에서 느끼는 행복이다. 또 심드렁한 표정으로 원고지를 힘들게 쓴 학생에게 몇 마디의 칭찬은 글짓기가 재미있는 과목으로 변하는 마력을 느끼며 보람도 생긴다.

그날 이후 글짓기 주제는 내가 정한 것, 자유롭게 쓰고 싶은 것을 같이 제시를 한다. 그러면 아이들은 스스로 선택을 하고 글을 쓰기 시작을 한다. 아무리 산만한 아이들도 원고지에 글을 쓸 때면 신성하게 느껴지는 침묵의 세계에 빠져든다. 눈을 감고 원고지에 향나무 연필로 글씨를 쓰는 소리를 들으면 마치 누에가 뽕잎을 갉아 먹는 것 같다. 어쩌면 누에가 비단을 뽑아내듯 아이들은 원고지에 고운 이야기를 수놓는 것일지도 모른다. 검은 눈을 반짝이면서 자신의 생각을 고운 손끝으로 쓰고 지우는 아이들을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은 내 생의 축복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