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톤이 폼 나죠? 인간승리하는 것 같아서. 근데 그거 다 현실 도피에요. 그냥 사는 게 갑갑하니까 그런 걸로 대리만족하는 거라고요.”

영화 <말아톤> 초반부에 나오는 대사다. 자폐증이 있는 초원이가 42.195km의 풀 마라톤을 세 시간 안에 완주할 수 있도록 지도해달라는 초원이 엄마 부탁에, 코치는 퉁명스럽게 거절하면서 저 말을 한다. 그리 강조되지 않고 지나가듯 처리된 대사였는데, 당시 10대였던 내게도 이상하게 인상적이었다. 영화를 본 뒤로 긴 세월이 흘렀고, 나는 첫 회사를 그만둔 뒤 달리기를 시작했다.

4년 넘게 달리기를 하면서도 하프나 풀 마라톤에 도전하지는 않았다. 마라톤 선수도 아니고, 나 같은 일반인이 10km가 넘는 거리를 뛸 이유는 별로 없다고 생각했다. 마라톤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무척 대단해 보였지만, 솔직히 이해가 되지는 않았다. 왜 의미 없는 고행을 하는 거지? 꾸준히 5km 내외만 뛰어도 건강에는 충분히 좋고, 일상에 활력이 생긴다. 가끔 10km 대회 정도에 출전해 기록을 조금씩 앞당기면 성취감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20km가 넘는 하프나 풀 마라톤은 전혀 다른 차원으로 여겨졌다. 물론 대회 전에 오랫동안 연습을 하고, 페이스를 낮추면 언젠가 완주가 가능하긴 할 것이다. 그런데 그게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 마라톤을 완주한다고 해서 내 현실이 달라지는가.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건 어려운 데 반해, 밖으로 나가서 달리고 마약 같은 고양감을 느끼는 건 쉽다. 그저 현실 도피일 뿐이다.

그렇게 생각하면서도 지난해 나는 하프 마라톤에 도전하기로 마음먹었다. 마라톤에서 뭔가 새로운 의미를 발견한 것은 아니었다. 준비하던 일이 잘 안되고, 지긋지긋하게 찾아온 막막함에서 벗어나고 싶었다. 막연히 기대하던 희망이 사그라졌으므로 다음 붙잡을 것이 필요했다. 대체 뭘 붙잡고 싶은지는 모르지만.

매주 주말에 단체 훈련이 있었고, 주중엔 짜여진 프로그램을 참고해 개인 훈련을 했다. 천천히 컨디션이 올라오는 게 느껴졌다. 즐거웠다. 차근차근 뭔가 준비하는 나를 오랜만에 만났기 때문이었다. 2주 차 단체 훈련에서는 야트막한 산을 달렸고, 3주 차에는 잠실보조경기장 트랙에서 5km 기록을 쟀다. 어느새 훈련 기간이 반환점을 돌았다. 벌써 슬슬 끝이 다가오고 있었다. 두 번 남은 단체 훈련을 소화하고 한 주가 지나면 대회다. 아마 높은 확률로 완주하겠지. 대회가 끝나고 찾아올 허무함이 나를 벌써 삼켜오는 것만 같았다. 정말로 나는 하프 마라톤을 꾸역꾸역 완주하고 난 뒤 맞닥뜨릴 무의미함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두려웠다. 

마지막 단체 훈련을 하는 날이 됐다. 1시간 40분간 쉬지 않고 석촌호수를 달리는 훈련이 예정돼 있었다. 코치님은 아주 느린 페이스로 훈련팀을 이끌었지만, 한 시간 반이 지나고 호수를 여섯 바퀴째 돌 무렵이 되자 슬슬 이탈자가 나오기 시작했다. 뒤로 쳐진 사람들을 살피기 위해 코치님이 몇 안 되는 남은 사람들을 먼저 보내며 훈련팀 대열은 완전히 흩어졌다.

사람들의 등으로 막혀 있던 시야가 활짝 열렸다. 한 시간 반 동안 걷듯이 뛴 덕에 아직 힘이 남아있었다. 아껴놓은 힘을 이번 바퀴에 다 털어 넣기로 했다. 천천히 속도를 끌어올렸다. 지면 위를 팡팡 튀어가듯 질주하는 기분을 한껏 들이마시면서 가로수 그늘 터널 속을 달렸다. 호수의 풍경이 빠르게 내 옆을 스쳐 지나갔다. 자유롭게 날고 있는 것만 같았다.

마지막 커브를 돌아 골인 지점으로 들어왔다. 가슴이 벅차오르는 스프린트였다. 숨을 몰아쉬며 새삼 깨달았다. ‘오래전부터 나는 달리기의 이런 순간을 특히 사랑했었지’ 달리기는 이미 내게 충분히 많은 것을 주었고, 그럼에도 아직 비어있는 곳을 채우는 일은 달리는 내가 아닌 다른 나의 몫이었다. 

대회 당일 비가 온다더니, 주로 위 하늘에는 구름만 낮게 떠다녔다. 빗방울로 뭉쳐지지 못한 미세한 수분을 품은 공기는 몹시 습하고 무거웠다. 운동장에서 몸을 푸는데, 왠지 예감이 좋지 않았다. 꼭 날씨가 아니더라도 그동안의 훈련 궤적을 고려하면 좋은 기록으로 들어오기는 어려워 보였다.

그래도 할 수 있는 만큼은 최선을 다해보기로 했다. 하지만 역시 하프 첫 출전에 좋은 기록을 노리기에는 무리였다. 초반에 무리해서 페이스를 당겨놓느라 에너지를 소진해 버린 나는 10km 급수대를 지나고부터 걷기 시작했다. 다시 뛰었다가도 얼마 가지 못해 또 걸었다. 온몸에서 힘이 쭉 빠져버린 것 같았다. 

머릿속이 멍한데, 무척 맑기도 한 것 같은 묘한 기분. 러너스 하이 초기 단계 같은 걸까. 마치 블러 처리를 한 것처럼 주변에 있는 다른 러너들이 머릿속에서 흐릿해지고, 주로 위에서 한 발, 한 발 뛰어가는 나에게만 온 정신을 모았다. 10km가 넘는 달리기는 의미 없는 고행이라고 생각했었지. 게다가 기록의 관점에선 이미 망해버린 레이스다. 그런데 왜 온 힘을 다하고 있는 걸까. 하프 마라톤을 완주한다고 해도 달라지는 것은 없었다. 하지만 그렇게 하고 싶었고, 최선을 다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냥 그게 전부였다.

마음을 다해 뭔가 추구할 수 있다는 것, 그 자체가 축복임을 어렴풋이 깨달았다. 나는 쉽게 의미를 재단하고 냉소하는 대신, 스스로 선택한 일을 사랑하고 기꺼이 몰입하는 나의 모습을 향해 계속 뛰어갔다. 결승선으로 향하는 마지막 1km의 오르막은 무척 가혹했다. 간신히 스타디움 안으로 들어온 나는 마지막 힘을 짜내 속도를 높였다. 트랙 반 바퀴를 달려 결승선을 통과했다. 몇 초 뒤 기록 문자가 날아왔다. 

역시 기록은 별로 좋지 않았다. 못내 아쉬웠지만 그래도 괜찮았다. 내년에도, 내후년에도 나는 여전히 젊다. 얼마든지 또 즐겁게 의미 없는 도전을 할 수 있었다. 언젠가 풀 마라톤에 도전해 멋지게 완주하는 나의 모습을 상상했다. 앞으로도 달리기가 함께하는 삶을 한껏 즐길 생각으로 마음이 부풀었다. 후들거리는 다리를 옮겨 훈련팀 사람들이 기다리는 곳으로 천천히 걸어갔다. 분명 후들거리고 있지만 왠지 단단하게 느껴지는 걸음이었다.​

사진출처:
안홍구 포토그래퍼 (@h9ahn)
심채린 포토그래퍼 (@linchaez)